•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잡담

서스바라 후속기가 해서는 안될 일

로우파이맨최노인 로우파이맨최노인
929 15 23

newheadphone-20240608-213440-000.jpgnewheadphone-20240608-213442-001.jpgnewheadphone-20240608-213444-002.jpgnewheadphone-20240608-213448-003.jpgnewheadphone-20240608-213449-004.webpnewheadphone-20240608-213500-006.jpgnewheadphone-20240608-213503-007.jpgnewheadphone-20240608-213504-008.jpg

 

 

 그것은 바로 극악의 QC입니다. 600만원이 넘는 헤드폰에서조차 내부 칠 벗겨짐, 다이어프램 변형 및 파손, 급사 등의 이슈가 빈발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불량 역시 무상교환이 아닌 유상 AS로 수리가 진행되었죠.

 

 

6e8b6b420dd8a720966f6e8ba15ab987438ef084.jpeg.jpg

 

  이번에 발매된 서스바라 언베일드는 심지어 외부 그릴까지 생략되면서 외부의 손상에 더욱 취약해졌습니다. 설계적으로는 분명 좋은 소리를 낼 수는 있겠으나 드라이버 자력에 의해 외부의 쇳가루 같은 이물질들이 다다다닥 붙을 것을 생각하니 끔찍합니다.(마치 에어팟 프로 충전 케이스 내부를 연상케하는...) 먼지제거를 위해 후 불었다가 다이어프램 박막이 찢어지는 대참사 또한 예상되는데...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에 취약한 저 구조로 인해 발생할 각종 불량 이슈들이 눈에 선합니다만, 가격마저 널뛰기처럼 비싸졌는데 QC마저 제자리라면 더욱 혹평을 받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newheadphone-20240529-212435-000.jpg 

로우파이맨최노인 로우파이맨최..
49 Lv. 49740/50000EXP

HEADPHONES 

JVC HA-MX100-Z 

SENNHEISER HD800S ♡♡

HIFIMAN SUSVARA ♡☆☆

STAX SR-Ω ♡♡♡

STAX SR-X9000 ♡♡♡

STAX SR-LAMBDA PRO ♡

STAX SR-LAMBDA PRO CLASSIC

 

DAC•AMPS

iBasso Audio DC03PRO

Fosi Audio DS1

Tempotec Sonata BHD Pro

HIFIMAN EF600

STAX SRM-D50(Suitable for students)

STAX SRM-1 MK2 PRO

JDS LABS ELEMENT III MK2(Boosted)

신고공유스크랩
햄최삼 햄최삼님 포함 15명이 추천

댓글 23

댓글 쓰기
profile image
'600만원이 넘는 헤드폰에서조차 내부 칠 벗겨짐, 다이어프램 변형 및 파손, 급사 등의 이슈가 빈발했습니다'


이러면 600만원이 아니라 600원
21:32
24.06.09.
profile image

어지간하면 저도 고가의 오디오에 의문을 갖지 않는 편인데, 어째서 6백만원이라는 가격이 책정된 건지 의문이 듭니다.
하물며 정전형이라면 이해가 가지만, 평판형 다이어프램의 제조경비가 그렇게나 많이 드는 건지...

만일 기함급 모델답게 정말로 제조경비가 많이 든다면, 그만큼 제조공정은 물론이고 필드에서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는게 당연합니다.
구조적으로 보았을 때 다이어프램 파손과 특히 마그넷의 도장 박리는 상당히 크리티컬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가격을 생각하면 더더욱 말이 안 되고요. 도장 박리라니요...

 

QC만으로는 검사공정에서 발견되지 않는 잠재적인 불량은 걸러내지 못하므로 QA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고가, 고비용 혹은 대량생산일 경우 개발 전부터 APQP 기획해서 개발 과정에서의 트러블 슈팅 이력을 전부 정리해서 FMEA 작성하여 이후 프로세스에 전부 반영하고, 양산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업뎃 관리해야 합니다.
그리고 신뢰성 테스트를 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네요. 테스트간 발견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해서 내놓아도 필드에서의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는 미처 테스트하지 못했던 부분에서의 문제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신뢰성 테스트는 더더욱 중요합니다.

 

저런 불량들이 발생된 것 자체도 문제이지만, 그걸 유상수리로 대응하고 있다면 더더욱 문제입니다. 제게 저런 일이 생겼다면 정말 다 집어치우고 두 번 다시 쳐다도 보지 않을 것 같습니다. 즉, 고객을 잃는 것이죠. 6백만원이나 하는 엄청난 가격의 헤드폰인데, 고객들의 그 6백만원이 하늘에서 떨어져서 지불한 거라고 생각하는 건지.

 

같은 맥락에서, 저렇게 리어를 오픈하는 것도 대단히 위험해 보이네요. 아무리 사운드 필드를 틔우려 한다해도 하다못해 메쉬로라도 막아두든가 해서 다이어프램을 보호하는게 사운드 튜닝보다는 더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22:56
24.06.09.
profile image 1등
'600만원이 넘는 헤드폰에서조차 내부 칠 벗겨짐, 다이어프램 변형 및 파손, 급사 등의 이슈가 빈발했습니다'


이러면 600만원이 아니라 600원
21:32
24.06.09.
profile image 2등
와 1~20만원짜리도 아닌 제품이 그래요? 그건 좀 충격이네요
21:32
24.06.09.
profile image
쏘핫
하이파이맨 브랜드의 최대 단점이죠. 가격에 비례하지 않는 품질...
21:35
24.06.09.
profile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그건 가격에 비해 품질이 떨어지는게 아니라 가격이 바가지....(....)
21:36
24.06.09.
profile image 3등
제가 직구로 아무리 저렴해도 하이파이맨 직구는 생각하지 않는 이유입니다. 하이파이맨 QC의 문제인지 기술의 한계인지 하여간 말들이 많더라고요.
22:00
24.06.09.
profile image
purplemountain
제조기술의 한계인 듯 합니다. 확실히 하이파이맨이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려면 이런 것들을 해결해야 할텐데 말입니다
22:03
24.06.09.
profile image

자석이 저래 오픈되어 있으먼 뭐가 날아와 붙을지 불안하군요..ㄷㄷ

22:12
24.06.09.
profile image
nerin
상당히 불안합니다. 소비자들 역시 제품을 받아들고 기겁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2:13
24.06.09.
profile image
반면 저가형은 내구성 괜찮죠
게중에 순다라가 제일 딴딴한 것 같아요
22:18
24.06.09.
profile image

어지간하면 저도 고가의 오디오에 의문을 갖지 않는 편인데, 어째서 6백만원이라는 가격이 책정된 건지 의문이 듭니다.
하물며 정전형이라면 이해가 가지만, 평판형 다이어프램의 제조경비가 그렇게나 많이 드는 건지...

만일 기함급 모델답게 정말로 제조경비가 많이 든다면, 그만큼 제조공정은 물론이고 필드에서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는게 당연합니다.
구조적으로 보았을 때 다이어프램 파손과 특히 마그넷의 도장 박리는 상당히 크리티컬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가격을 생각하면 더더욱 말이 안 되고요. 도장 박리라니요...

 

QC만으로는 검사공정에서 발견되지 않는 잠재적인 불량은 걸러내지 못하므로 QA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고가, 고비용 혹은 대량생산일 경우 개발 전부터 APQP 기획해서 개발 과정에서의 트러블 슈팅 이력을 전부 정리해서 FMEA 작성하여 이후 프로세스에 전부 반영하고, 양산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업뎃 관리해야 합니다.
그리고 신뢰성 테스트를 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네요. 테스트간 발견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해서 내놓아도 필드에서의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는 미처 테스트하지 못했던 부분에서의 문제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신뢰성 테스트는 더더욱 중요합니다.

 

저런 불량들이 발생된 것 자체도 문제이지만, 그걸 유상수리로 대응하고 있다면 더더욱 문제입니다. 제게 저런 일이 생겼다면 정말 다 집어치우고 두 번 다시 쳐다도 보지 않을 것 같습니다. 즉, 고객을 잃는 것이죠. 6백만원이나 하는 엄청난 가격의 헤드폰인데, 고객들의 그 6백만원이 하늘에서 떨어져서 지불한 거라고 생각하는 건지.

 

같은 맥락에서, 저렇게 리어를 오픈하는 것도 대단히 위험해 보이네요. 아무리 사운드 필드를 틔우려 한다해도 하다못해 메쉬로라도 막아두든가 해서 다이어프램을 보호하는게 사운드 튜닝보다는 더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22:56
24.06.09.
profile image
alpine-snow
젠하이저쯤 규모가 되면 그런 기법들이 적용되고 있는 듯해 보이지만, 하이파이맨 사의 제조규모는 겨우 공방 수준에서 약간 진보된 수준으로 보여집니다. FMEA는 커녕 작업자조차 매번 바뀌면서 품질편차가 상당히 발생할 겁니다. 헤드폰 뿐만 아니라 케이스 포장지까지 너덜너덜한 걸 보면 작은 부분에서조차 컨트롤이 안되는 모양입니다
23:31
24.06.09.
profile image
음향기기는 음질이 중요하지만 음향기기 이전에 상품으로서 최소한의 내구성은 보장해줘야 보다 많은 사람들이 돈을 지불할 것 같습니다.. 저는 꿈도 못 꾸는 제품이지만요 ㅎㅎ
23:10
24.06.09.
profile image
노린재와이어폼팁
저도 공감하는 바입니다. 아마 음향판이 좁다보니 수 십만대 수준의 공산품 관리체계가 도입하지 않아도 이해해주고 지속적으로 구입해 주는 사람이 있으니 혁신적인 내구성 증가는 이루어지지 못하는 듯 합니다
23:33
24.06.09.
profile image
저런 설계 결함 은 기본 이 안되어있다는 겁니다. 절대 구입 금지 업체입니다.
01:29
24.06.10.
profile image
서스바라가 저런 문제가 있었군요. 제 것도 언제 문제가 생길지 모르니 두렵네요. ㄷㄷ
04:59
24.06.10.
profile image

하이파이맨은 색상 재질 빼곤 보급형이나 플래그쉽이나 품질면에선 별차이가 없더군오. -_-;;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09:29
24.06.10.
profile image
제가 그래서 솔리테어p를 샀습니다 솔p는 딱봐도 독일산
입니다
09:57
24.06.1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글 작성 시간 안내 16 영디비 5일 전00:08 526 +21
부운영자 모집 공고! 35 영디비 24.06.04.15:37 4303 +18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24.06.03.15:27 4369 +15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3521 +13
잡담
image
영디비 22.08.31.05:08 2.4만 +45
잡담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4.05.08.01:09 3986 +30
잡담
image
COCT 24.05.01.15:48 664 +30
잡담
image
영디비 24.06.22.15:38 465 +27
잡담
image
SunRise 23.09.17.01:24 1685 +27
잡담
normal
영디비 24.06.22.23:56 686 +26
잡담
normal
SunRise 24.06.16.15:49 459 +26
잡담
image
영디비 24.06.14.00:01 936 +26
잡담
image
사진쟁이 24.05.27.19:03 1300 +26
잡담
image
영디비 23.04.12.19:44 890 +26
잡담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4.04.10.15:55 4331 +24
잡담
image
영디비 23.09.27.16:38 178 +24
잡담
image
영디비 22.07.27.22:35 5728 +24
잡담
normal
영디비 21.07.26.17:34 2954 +24
잡담
normal
방울이 20.05.18.02:35 2604 +24
잡담
normal
FADELART 24.05.27.01:55 726 +23
잡담
image
alpine-snow 24.05.15.01:03 1729 +23
잡담
normal
영디비 22.09.24.16:31 4042 +23
잡담
image
사진쟁이 23.11.05.16:13 554 +22
잡담
image
연월마호 19.10.02.12:21 8317 +22
잡담
image
연월마호 23.06.13.23:44 1116 +21
잡담
image
영디비 23.04.03.22:12 525 +21
잡담
normal
바밤바55 20.11.30.22:22 1990 +21
잡담
normal
듀라렉스 19.06.26.07:19 2433 +21
잡담
normal
SunRise 24.06.19.11:23 476 +20
잡담
image
영디비 24.06.19.05:03 284 +20
잡담
image
영디비 24.06.17.21:33 299 +20
잡담
image
쏘핫 24.06.15.19:28 681 +20
잡담
image
Gprofile 24.05.31.13:45 232 +20
잡담
image
Magnesium 24.05.30.17:29 35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