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기타

일본에서 찾은 한국

호연 호연
104 5 5

 일본 큐슈 미야자키현 남부, 미사토 정에서는

백제 왕족을 신으로 모시며

옛 백제문화를 재현하는 행사가 매년 치뤄집니다. 

 

 

 정월 첫 대보름날 달집태우기 행사를 하고

부럼을 깨 먹는 것도 한국과 동일하죠.

 

 

IMG_1685.JPG

 

 미야자키대학 유학시절,

백제땅 출신(...)이라는 이유로 이 축제에 초청받아

첫 달집에 점화하는 역할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어릴 적 시골마을에서 하던 것과 똑같이

약 3M 높이의 달집을 짓는데,

안에는 아직 마르지 않은 대나무를 넣어

뻥뻥 터지는 소리를 나게 만듭니다.

들짐승들이나 귀신이 두려워하도록 말이죠. 

 

IMG_1678.JPG

 

이 안에 고구마 넣어 먹으면 맛있겠다는 생각을 했는데

불경죄라고 합니다.ㅋㅋㅋ

 

이 동네 사람들은 대대로

백제의 마지막 왕족을 농사의 신으로 추앙합니다.

버섯을 키우는 법,

철기를 만드는 법,

벼를 키우는 법

모든 것이 백제에서 왔다면서요.

 

 

 

관서지방의 나라 현의 이름이

한국어 '나라國'에서 나왔다는 건 정설입니다.

그런데요,

작별을 뜻하는 사라바さらば가, 옛 백제어 '살아서 봐'

에서 왔다고 대대로 배워 왔다 하시덥니다.

 

 일어를 전공한 입장에서는 에이 설마요, 싶은데

대대로 그렇게 배웠다 하시니 반박은 못 하겠고^^; 

 

 

IMG_1709.JPG

 행사가 끝나고 남은 불씨는 각자 집으로 가져가 숯불을 다시 피우기 시작합니다.

 

 

 

IMG_1711.JPG

 

구이음식은 역시 숯에 구워야 합니다.

좀더 유해해도 좀더 맛있게.ㅋㅋㅋ

 

IMG_1825.JPG

 

백제 건축양식으로 지은 건물도 있습니다.

그 이름도 백제관.

백제를 일어로 쿠다라くだら라고 합니다.

여기에 없다는 뜻의 나이ない가 붙으면

 

시시하다, 쓸데없다 하는 말인

쿠다라나이, 가 되는데요.

 

이 동네 분들의 말씀에 의하면

일본과 백제의 교역이 활발하던 때

이 동네 부두에 장이 열리면

백제 물건이 있는지 없는지로

쿠다라나이 쿠다라나이 하는 말이 오갔다고 합니다.

 

 

IMG_1824.JPG

 

 약간의 입장료가 있는데요.

무려 한국인 무료였습니다.ㅋㅋㅋ

 

IMG_1827.JPG

 

 김덕수사물놀이패가 공연도 해 줬다고 합니다.

 

내부에는 한복체험 등..여러가지가 있었는데

백제땅 출신이라는 것 하나만으로

정말 현신을 받들듯이 해 주셨습니다.

어딜 가나 음식이 따라오고, 차를 태워주겠다고 하시고..

 

좋은 체험이었습니다.

 

호연 호연
23 Lv. 11417/11520P

찍먹매니아, 계좌 영양실조

음감뉴비 막귀

 

DAC

Truthear Shio

Qudelix 5K (main!)

 

Audio interface

Audient Evo4

Audient iD4mk2

 

 

Headphones

Austrian Audio Hi-X25BT(main!)

Sony MDR7506

Audient SR2000

Sony WH1000XM4

 

Speakers

KRK Rokit5 G4(main!)

JBL Partybox on the go

JBL control one pro

Bose FS4SE

Edifier mr4

 

IEM

AKG N5005 (main!)

Truthear Hexa

Truthear GATe

Kinera Celest wyvern

Tangzu Wan'er SG

Tangzu FUDU

Simgot ew200

TRN Orca

Truthear Zero/Zero red

Truthear Hola

TRN MT1

KZ ZSNpro

7hz Zero

7hz dioko

Moondrop chu2

Moondrop Kato

Moondrop Lan

Simgot ew100dsp

 

TWS

Galaxy buds 2 pro(sub!)

Sonicast Direm W1(game!)

Galaxy buds pro

Sennheiser MTW

KZ SKS

Lypertek tevi

Divinus ostia

QCY T1~T13

 

신고공유스크랩
재인아빠 재인아빠님 포함 5명이 추천

댓글 5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재에서 구은 떡으로 승화하는군요! 건물들은 한국의 산속의 절과 완전 똑 같아 보이네요. 

15:56
24.05.21.
profile image 2등
정확히는 기억이 안 나지만, 역사 다큐멘터리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아마 이 행사에 관한 것이었던 것 같은데 각자 살던 곳에서 어느 한날에 한 곳에 모여 행사를 하고 다시 각자의 살던 곳으로 돌아갈 때 작별을 하며 부르던 노래의 가사가 잘 들어보면 우리말이더군요. 부르고 있는 일본인들은 무슨 뜻인지 모르고 전해지던 대로 부르는 것이라고 하는데 그 소리를 잘 들어보면 우리 말이었습니다. 사라바라고 하는 말이 살아서 봐라는 말에서 왔다는 말이 맞을 겁니다.

일본이라는 국가명도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후에 붙여졌다는 것도 의미가 있지요. 원래 일본이라는 국호는 졸본에서 나온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비류와 온조의 어머니는 부여계인 졸본 출신이라고 하죠. 홀본, 졸본을 한자로 차음하여 차이가 난 것이지 졸본의 원래 뜻은 요즘의 발음이나 의미로 일본이라는 거죠. 백제를 세운 비류와 온조의 어머니 소서노가 일본 사기에 언급된 것도 우연이 아닌 겁니다.
천황가가 백제계라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기도 했구요.
당과 신라에 밀려 일본으로 건너간 백제의 유민들이 일본으로 이주하며 새로이 붙인 이름이 일본인 것이죠.
16:18
24.05.21.
profile image
호연 작성자
굳지
아, 미사토가 다큐도 있었군요. 2차대전때에도 이곳 주민들은 천황이 아니라 정가왕 만세를 외쳤다고도 하더라구요.
16:36
24.05.21.
profile image 3등

일본땅에 남아있는 백제의 흔적이라... 대단하네요

16:40
24.05.21.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