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잡담

지금시점 가장 갖고 싶은, 꿈에 그리는 헤드폰

로드러너 로드러너
251 14 48

그것은 젠하이저의 아직 실체도 불분명한 HD 900 입니다.

 

얼마나 갖고 싶냐면 서스바라, 뉴토피아랑 비싸봐야 300에 나올 것 같은 HD 900 사이에서 고르래도 HD 900 고를 것 같아요

(X9000하고는... X9000 받고 HD 900은 제 돈 주고 사죠 뭐 ㅠㅠ)

 

몇년 전부터 떡밥은 돌았는데 자잘하게 하위라인업은 이것저것 내놓으면서도(유선에서만 봐도 컨슈머에서는 560s, 660s2, 620s, 프로에서는 490pro 등) 대망의 900번대를 안 내놓는 젠하이저네요.

 

 지금 800s도 만족하면서 듣고 있지만 아무래도 HD 900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을 내려놓을 수가 없는데

 

9라는, 모든 회사 제품 라인업에서 완성과 끝판왕을 뜻하는 넘버의 상징성 때문이겠네요.

 

다만 IE 600과 900에서 역시 이어졌던, 기존 (HD)600과 800번대에서의 유저 평가가 900에서도 이어지지는 않을런지 그게 내심 불안합니다.

 

아시다시피 600번대와 800번대는 800번대가 마냥 상위호환은 아니라는 유저평이 많았습니다. 이게 지금은 좀 수그러들었는데 옛날엔

 

훨씬 강했어요(더구나 외국에는 여전히 HD650이 800번대보다 훨씬 좋다는 분들이 널린 것으로 압니다).

 

그리고 이게 제가 알기론 (이어폰이긴 하지만) IE 600과 900에서도 이어졌어요. 소리의 질적 차이보다는(혹은 질적 차이가 난다손 치더라도)

 

성향차이로 갈리는 리시버라는 평가가요.

 

부디 HD 900은 이런 것 없이 거의 확고히(최소한 서스바라가 헤륙세보다, 유토피아가 클리어보다 명확히 상위기라는 평가가 내려지는 것만큼은)

 

하위기보다 상위 클라스라는 소리를 듣기 바라게 됩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800 시리즈는 헤드폰도 이어폰도 젠하이저 설계의 끝판왕이었지만 다소 아쉽게도 개선형인 S 모델과, 그것도 모자라 잠수함

 

패치가 꾸준히 이뤄져왔는데요. HD 900에서는 S도 잠수함 패치도 없었으면 좋겠네요. 사실 젠하 고질병이고 제가 가장 싫어하는 이런 측면에

 

대비해서 HD900이 나오면 뒤도 안 돌아보고 국내출시 당일에 지를 예정이기는 합니다. 그래서 진짜 오리지널 오브 오리지널 HD900을

 

소장하려고요(IE 900도 운좋게 독일산을 소장하게 되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말이 나와서 그런데 젠하놈들 맨날 플래그십 라인 첨엔

 

독일에서 생산하다가 나중에 은근슬쩍 아일랜드로 옮겨 생산하는 거 맘에 안 들어요).

 

영디비님이 아일랜드의 젠하 지사에 가셨다는 루머가 일파만파인 가운데 루머가 부디 루머에 그치지 않기만을 바라며

 

그래서 하루빨리 꿈에 그리던 HD 900을 만나볼 수 있길 바라며 이만 뻘글을 줄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로드러너 로드러너
22 Lv. 10015/10580EXP

Headphones

Sennheiser HD 800 S ⭐️

Focal Clear(Old)

Sennheiser HD 650

Sony MDR-Z7

Sony MDR-MA900

 

In-Ear Monitors

Sony IER-Z1R ⭐️

Hidition Gaming T-100

Thieaudio Monarch Mk. II

Sennheiser IE 900, IE 600, IE 300

Moondrop Blessing 3

Apple AirPods Pro(2nd generation)

큐델릭스 QX-over Earphones

 

Systems

큐델릭스 Qudelix-T71 ⭐️

Topping E70

Monoprice Monolith THX 887

Questyle M15

 

Old and loved

Sennheiser MX400

Bang & Olufsen Accessories 8

AKG K3003i

Ultimate Ears Triple.Fi 10

LG QuadBeat Pro(Black)

Phonak PFE132

Apple In-Ear Headphones

... and so on

신고공유스크랩
SunRise SunRise님 포함 14명이 추천

댓글 48

댓글 쓰기
1등

제가 퍼뜨린 루머의 성능이 확실하군요.ㅋㅋㅋㅋ

14:52
24.06.19.
profile image
eoeoe
지금 영디비에서 eoeoe님 루머를 저만큼 진지하게 진짜였으면 하고 바라는 사람 없을겁니다. ㅋㅋㅋ 기왕이면 hd900때문에 가신 것도 진짜기를!!
14:57
24.06.19.
profile image 2등
HD900... 링라디에이터 드라이버 이용한 동축2DD... 패시브크로스오버... 기대해봅니다(어림도 없음)
14:54
24.06.19.
Magnesium
안됩니다... 젠하이저는 1dd만 해야합니다
14:58
24.06.19.
profile image
eoeoe
정전형... HE900은 어떠십니까 ㅋㅋㅋㅋ
15:01
24.06.19.
profile image
Magnesium
오오... 근데 다른 분은 몰라도 마그네슘님 말씀이라기엔 의외네요. 헤드폰에서 단일 드라이버가 아닌 다중드라이버를, 그것도 물론 어느 정도는 농담이시겠지만 저 젠하에서 기대하시는 이유가 있을까요?

젠하가 아니라도 다중드라이버는 필연적으로 왜곡이 발생하는, 이론적으로 이상적인 소리를 내줄 수 없는 구조인데다 단지 이론에만 그치지도 않는 게 많은 청취경험 있는 유저들이 1dd의 감동을 얘기하고 있는데요. 진지하게 궁금해집니다.
14:59
24.06.19.
profile image
로드러너
다중드라이버가 필연적으로 왜곡이 발생한다는게 정확히 어떤 왜곡 말씀이신가요? 위상 불일치로 인한 캔슬 같은거 이야기 하시는 걸까요?
15:03
24.06.19.
profile image
Magnesium
다중듀서 이어폰들에서의 음도관 배치로 인한 회절 같은 게 아니라도(즉 위상이 일치해도 -in phase-,) 말씀하신 대로 캔슬이 있잖아요. 다중듀서의 이유가 각기 다른 대역을 재생시키기 위함인데 이 소리가 인페이즈여도 서로 상쇄시키는 만큼요. 마그네슘님이 그동안 매우 정파적인 모습을 보이시며 사파를 경계하셨던 걸 고려하면(hrtf를 놓고 괴이한 방법으로 7.1ch을 재현하려던 t71 iem이라든지) 퍽 특이하게 다가와서 드린 질문입니다 ㅎㅎ 이어폰에서라면 몰라도 헤드폰에서의 싱글듀서는 그냥 정파 수준이 아니라 무조건이다시피 되어 있으니...
15:08
24.06.19.
profile image
로드러너
이어폰에서의 다중듀서에 반대하는 여러가지 이유는 1. 제대로된 크로스오버네트워크 구성이 힘듭니다. T71IEM같은 디지털크로스오버를 이용하는 방식도 있지만 전용앰프 전용DAC가 필요하고 그 가격도 상당할 것 입니다.<br />2. 말씀하신 위상 관련 문제입니다. 근데 이거 동축으로 만들고 크로스오버 잘 걸고 크로스오버지점에서 위상 일치시켜주면 됩니다. 즉 잘 만든 동축에선 거의 없는 문제입니다. 3. 이어폰은 필요음압이 작고 진동판도 작고 그래서 위에 이야기한 다중듀서의 장점이 의미가 없습니다. 튜닝의 자유도가 올라간다는 건 장점입니다만 전 차라리 1DD에 EQ로 때우겠다는 사람이라...
15:19
24.06.19.
profile image
Magnesium
저도 그냥 일반적인 선에서 조금 알 뿐이라 락킹모드니 도플러디스토션이니 진동판에 대해서 이런저런 이야기가 많은데 뭔지 제대로 모릅니다. 다만
1. 모든 dd는 일정 주파수 이상에서 분할진동이 문제가 되고 일정 주파수 이하(공진주파수 이하)는 제대로 작동하지 못합니다.
2. 락킹모드라고 분할진동이 엄청나서 선형성을 해치는 주파수가 모든 dd에 하나씩은 있습니다.(포칼은 드라이버 소재, 젠하이저는 링형 진동판으로 극복)
근데 먼저 이야기 한 것도 그렇고 이건 주로 스피커에서 통용되는 이야기고 헤드폰에서는 어떻게 될지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락킹모드는 대부분의 dd헤드폰에 보입니다. 임피던스에 작은 공진과 함께 크기응답에 딥이 있는 식으로요.
15:25
24.06.19.
profile image
로드러너
쓰다 날아갔네요
간략히 쓸께요
공진점, 분할진동 등의 이유로 dd에게는 대역별로 적합한 설계가 있습니다
반대로 풀레인드라이버 하나로 전대역을 모두 잘 재생하기는 매우 힘듭니다(필요 음압따라 다르지만요. 이어폰은 가능합니다. 밀폐되어있기도 하고요)

지금까지 헤드폰은 풀레인지드라이버라는 한계에 갖혀있었지만(거의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중고역대 분할진동 딥이라던가) 다중드라이버를 이용하게 된다면 각 드라이버가 유리한 대역만 재생하면서 이런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겠죠
그리고 그러려면 크로스오버네트워크가 거의 필연적입니다
15:13
24.06.19.
profile image
Magnesium

유독 마그네슘님께 날아가는 사태를 유발해드리는 거 같아서 먼저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

풀레인지드라이버 하나로 전대역을 다 잘 재생하기 힘들다는 건 인지상정이죠. 지금까지 제가 들은 최고로 감동적인(단지 좋은 거 말고, '감동적인') 소리들은 모두 싱글드라이버였는데, 희한하게 다들 한군데씩 나사가 빠져 있기도 했고요.

또 크로스오버는 다중듀서 구조라면 이어폰에서처럼 헤드폰에서 역시 당연히 필요할 겁니다. 다만 헤드폰에서 다중드라이버가 가능할지 저는 그게 궁금하네요. 몇몇 시제품이 있는 걸로 알지만 극 마이너에 그쳤는데... 마그네슘님도 반농으로 말씀하신 것처럼 hd 900에서는 어렵겠지만 hd900 차기 제품쯤에서는 가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더구나 젠하가 워낙 보수적인 제조사여야죠. ㅎㅎ

언제나처럼 상세하게 말씀해주셔서 감사해요!

15:21
24.06.19.
profile image
로드러너
젠하이저가 절대 해줄 일은 없을 것 같으나... 헤드폰에 쓸 동축시스템을 제대로 만들 수 있는 기업은 젠하이저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링라디에이터를 만들었다는 것 에 기대를 걸어봅니다.

나온다면 dsp앰프와 한세트가 될 수 밖에 없을 것 이고 오르페우스랑 비슷한 포지션을 차지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헤드폰 다중듀서는 동축 안할거면... 우퍼유닛만 따로 두는(100Hz 아래만 재생한다던가, 위상 및 hrtf문제를 상당히 무시할 수 있음) 식으로 할거 아니면 안하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15:35
24.06.19.
profile image
Magnesium

HVlT9xw.pnggpK5gor.pngIseEjbp.jpg

 

HD800 드라이버를 재탕한다면 HD700 리뉴얼해줬으면 좋겠어요.

 

HD600 섀시에 넣어도 소리 괜찮아보이거든요.

 

 

혹은 가운데 빈 공간에 테크닉스처럼 슈퍼트위터를?

 

 

12:31
24.06.20.
profile image
SunRise
와... 소리 궁금하네요.

HRTF에서 기인한 피크는 어지간해선 EQ던 뭐던 답이 없으니... 완결된 토널?은 귀에 가까이 붙히는거 밖에 답이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HD600 하우징에 넣는다면 진동판 형상과 방사형태가 근거리에서 어떤식으로 영향을 끼칠지가 관건 일 것 같네요

말씀하시는 대로 HD700시리즈가 부활하는게 제일 좋을 것 같구요. 하우징은 리뉴얼해서...


좀 뜬금없지만 헤드폰 드라이버 근접측정(부위별), 정축응답측정이 하고 싶다는 생각이 계속 듭니다.(무지향성 마이크 사용)
13:08
24.06.20.
profile image
Magnesium
SBAF에서 관련 연구를 진행합니다. 저것도 스바프 작품이고, 3D 프린팅 도안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800 드라이버는 오디오 생츄어리에서 구매 가능하고요.
13:11
24.06.20.
profile image
Magnesium
햐 마그네슘님은 그러면 제가 생각했던 것과 달리 되레 현행 이헤폰 트렌드에 역행해보았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계셨던거군요. 이어폰에서의(유행적인)다중듀서는 반대하고 헤드폰에서의 (마이너했던)다중듀서화는 긍정적으로 보고 계시니까요. 매우 흥미롭습니다.
15:31
24.06.19.
profile image
로드러너
이어폰은 할 이유가 없고 헤드폰은 할 이유가 있으니까요. 다만 제대로 실현하기가 어려울 뿐 이죠.
15:37
24.06.19.
profile image
Magnesium
워어... 0.1g도 이해를 못하겠....쿨럭
15:40
24.06.19.
profile image
쏘핫
ㅋㅋㅋㅋ 저도 이해하는 척만 하고 있기는 마찬가집니다. 그런데 실은 이해 못했어도 이해했다, 이해된다 이러면서 자기 주문을 걸면 조금씩 이해가 됩니다. 쏘핫님도 시도해보세요!
15:46
24.06.19.
profile image
로드러너
나는 이해한다 나는이해한다 나는이해한다.... (실패)
15:50
24.06.19.
profile image 3등

아... 600도 없는데 흑흑

15:00
24.06.19.
profile image
쏘핫
괜찮습니다. 여름도 다가오는데 헤드폰따위... 사실 저는 쏘핫님이 헤드폰까지 넘보시기를 마음으로는 바라지만 머리로는 바라지 않기도 합니다. 머리로도 바라면 사악한 거라서요 ㅎㅎ
15:15
24.06.19.
profile image
로드러너
어엌ㅋ 아마 제가 산다고 해도 중고가 20만 미만의 가성비 제품으로 살꺼같습니다 근데 부가적으로 사야할게 생기니 아마 힘들지 싶습니다 ㅋㅋ 그냥 모멘텀4에 오공이로 만족해야죠 ㅎㅎ
15:21
24.06.19.
profile image
쏘핫
저는 무선헤드폰은 개인적으로 좀 특이한 폼팩터라 생각하기에 좋아하지 않지만 둘 다 워낙 좋은 기기니까요(오공이야 말할 것도 없고요 ㅎㅎ). 유선 헤드폰은... 진짜 이성으로는 마냥 설명할 없는 희한한 집착(무례한 표현일 수 있지만 사실은 맞기도 하고 저 포함 당사자들도 모두 공감할 것 같은)이 없으신 한 정 궁금하시면 560s 같은 거 하나 사고 땡치는 게 제일 지혜로워 보입니다.
15:28
24.06.19.
profile image
로드러너
안그래도 만약 구매를 한다면 매스드랍 제품인 6xx나 58x 정도 생각은 해봤습니다 생각만!!
15:31
24.06.19.
profile image

금속 매쉬 대신에 메타물질을 두른 HD900이 나오면 볼만하겠네요..ㅎㅎ

15:04
24.06.19.
profile image
nerin
그거 뭐야 무서워... 입니다 ㅋㅋㅋㅋㅋ 유토피아도 줘도 안쓸 제게 안정되면 문제 없는 베릴륨보다 메타물질이 뭔지는 모르지만 더 무섭게 들립니다. 메타물질 없이도 멋지게 만들어주길 바라야겠네요!
15:16
24.06.19.
profile image
로드러너
메타물질 별거 아닙니다..별거긴 한데 일반적인 소재를 자연에 없는 구조로 여러 특성을 가지도록 만드는 것 이죠..ㅋㅋ 예를들어 이미 댄클락에서 E3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ㅎㅎ
15:29
24.06.19.
profile image
젠하이져 정말 좋죠. HD 650 중고로 내친게 가끔 생각납니다ㅠㅋㅋ
하루빨리 HD900이 발매되길 바라겠습니다~ㅎㅎ
15:11
24.06.19.
profile image
베르캄규
hd650은 진짜 괜찮습니다. 솔까말 650은 한때 위상이 워낙 굳건했어서 그렇지 지금은 대체재도 많고 비슷한 가격에 상위호환기도 많다 봐서요. 감사합니다 ^^
15:17
24.06.19.
profile image
hd900이요..? 내 평생 들어본 적 없는 라인업..ㅋㅋ
15:37
24.06.19.
profile image
LiNee
정말 그 이름으로 나올지도 불명확한 차기 젠하 플래그십 헤드폰이죠. ㅎㅎ 1-2년내에는 볼 수 있으면 좋으련만...
15:41
24.06.19.
profile image

제목이 너무 최노인님 스러워서 최노인님 글인줄 알았습니다. ㅋㅋ

저도 HD900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HD800s의 광대역 재생성능과 광활한 스테이징, HD560s를 필두로 한 sys38 드라이버 기기들의 탁월한 저역 성능과 음을 촘촘하게 분해해서 재생하는 분석력이 합쳐진 기기야 말로 꿈에 그리던 DD의 종착역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15:42
24.06.19.
profile image
플랫러버
그런 너무 황홀해지는 말씀을 남기시면 안됩니다. 기대가 커지고 비례해서 기다림도 힘들어지잖아요. 그런 소리,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거 아녔냐고요. 그래서 아직 어떤 회사의 무슨 제품에서도 못 찾아본 것 아녔냐고요. 징징

+ 저도 글 제목 쓰면서 최노인님 글을 너무 많이 읽어서 영향을 받았나 하는 생각이... ㅋㅋㅋ
15:45
24.06.19.
profile image
플랫러버
진심으로 대단히 부럽습니다.
본인도 죽기전에 꼭 한번 들여놓고 싶습니다.
16:47
24.06.19.

요즘 우리 영디비에 이전처럼 사랑이 넘치는 글이 보이기 시작하는군요.
헤드폰에 대한 사랑이 절절히 느껴지는 멋진 글입니다.
똑같은 리뷰 글이나 양산하는 것보다 이런 글이 백번 좋지요.
제가 영디비를 결코 떠나지 못하는 이유입니다.
글 잘 보았습니다.

--------

사족으로 젠은 너무 HD1000 빨리 사용했어요.

900이 아니라 1000이어야지요. ㅠㅠㅠ

16:14
24.06.19.
profile image
무직마니아
ㅎㅎ 잘 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백번 동감합니다. HD1000 찰스턴은 좀 경솔한 네이밍이었어요. 근데 워낙 옛날거고 존재감도 희박해서 뭐 HD1000으로 내놔도 될 것 같기는 합니다 ^^;
17:35
24.06.19.
profile image
젠하가 나름 대형브랜드라서... 잠수함 패치 등은 공정이나 재료 변화 등에 적극 대응하는 거죠. 만약 소형 공방이라면 해당 제품은 단종되고 없어졌겠죠...
그건 그렇고 hd900이라... ㅎㅎ 플래그십이라고 물량 투입해서 4-500그램 무게에 4-500만원대 가격이라면 저는 아예 접근도 못할거 같습니다. 지금의 800s가 밸런스도 딱맞고 매우 좋은 제품인거 같아요.
16:44
24.06.19.
profile image
아마티

공정이나 재료변화에는 물론 대응해야 합니다. 단 저는 젠하의 잠수함 패치가 공정이나 재료변화에 대응한 수준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설령 의도가 그랬다 하더라도 실제로도 (HD800s를 예로 들면)처음 개발되었을 당시의 소리를 일정선에서 유지하지 못했다면 실패라고 봐야 하고요. 같은 이름의 헤드폰에 심지어 S라며 개선판으로 이미 한차례 대놓고 리뉴얼까지 해놓은 제품이 생산시기에 따라 소리가 다르다라... 이걸 변호할 여지가 있을지 모르겠어요.

과도한 체급변화보다는 가격은 좀 상승하더라도 800만한 크기와 착용감은 여전히 유지하면서 좋은 소리를 내주면 좋겠죠 ㅎㅎ
800이 이제는 퍽 오래된 모델이어서 아무리 당대 앞선 기술력을 자랑하는 설계였다지만 젠하만한 회사라면, 또 최근에 sys38과 490pro 같은 technical breakthrough를 선보였던 회사라면 그럴 만한 역량이 있다고 생각되기도 하고요.

17:41
24.06.19.
profile image
로드러너
자동차 연식변경으로 생각하면 한결 편하다 생각합니다 ㅎㅎ
12:33
24.06.20.
profile image
Ie900 이 있으니 HD900도 기대되는 건 당연한 것이죠. DD의 정점으로 나오거나 아니면 기존에 없었던 전혀 새롭고도 놀라운 음색의 신형 제품을 꿈꾸게 됩니다. HD800S 의 공간감에 보컬은 선명하고 극저음 재생능력이 탁월하며 고음은 쏘지 않는...그런 올라운더여도 좋구요
05:24
24.06.20.
profile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ㅋㅋㅋ 역시 hd900에 대해 오디오파일들이 갖는 꿈은 크네요. 묘사하신 소리는 상상가능한 최상의 소리이므로... 어쩌면 이런 기대를 너무 잘 알 젠하라서 망설이거나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걸지도요. ie900을 갖고 있지만 젠하 명성과 9 넘버링에 마냥 걸맞는 소리를 들려 주냐면... 좋기는 하지만 그 정도는 아니란 생각이 들기도 하고요.
11:09
24.06.20.
profile image
다만 개발 주체가 소노바가 된다면 어떻게 될지 의문이긴 하네요 ㅎㅎ
12:33
24.06.20.
profile image
SunRise
안됩니다. 젠하가 해야 해요! 그나마 600계통이면 프로슈머라도 되지만 800 이상부터는 명백히 오디오파일을 위한 컨슈머 제품이잖아요 ㅎㅎ
13:17
24.06.20.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글 작성 시간 안내 16 영디비 6일 전00:08 529 +21
부운영자 모집 공고! 35 영디비 24.06.04.15:37 4303 +18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24.06.03.15:27 4369 +15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3522 +13
잡담
image
영디비 22.08.31.05:08 2.4만 +45
잡담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4.05.08.01:09 3986 +30
잡담
image
COCT 24.05.01.15:48 664 +30
잡담
image
영디비 24.06.22.15:38 465 +27
잡담
image
SunRise 23.09.17.01:24 1685 +27
잡담
normal
영디비 24.06.22.23:56 686 +26
잡담
normal
SunRise 24.06.16.15:49 460 +26
잡담
image
영디비 24.06.14.00:01 936 +26
잡담
image
사진쟁이 24.05.27.19:03 1300 +26
잡담
image
영디비 23.04.12.19:44 890 +26
잡담
image
로우파이맨최노인 24.04.10.15:55 4331 +24
잡담
image
영디비 23.09.27.16:38 178 +24
잡담
image
영디비 22.07.27.22:35 5728 +24
잡담
normal
영디비 21.07.26.17:34 2954 +24
잡담
normal
방울이 20.05.18.02:35 2604 +24
잡담
normal
FADELART 24.05.27.01:55 727 +23
잡담
image
alpine-snow 24.05.15.01:03 1729 +23
잡담
normal
영디비 22.09.24.16:31 4042 +23
잡담
image
사진쟁이 23.11.05.16:13 554 +22
잡담
image
연월마호 19.10.02.12:21 8317 +22
잡담
image
연월마호 23.06.13.23:44 1116 +21
잡담
image
영디비 23.04.03.22:12 525 +21
잡담
normal
바밤바55 20.11.30.22:22 1990 +21
잡담
normal
듀라렉스 19.06.26.07:19 2433 +21
잡담
normal
SunRise 24.06.19.11:23 476 +20
잡담
image
영디비 24.06.19.05:03 284 +20
잡담
image
영디비 24.06.17.21:33 299 +20
잡담
image
쏘핫 24.06.15.19:28 681 +20
잡담
image
Gprofile 24.05.31.13:45 232 +20
잡담
image
Magnesium 24.05.30.17:29 35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