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잡담

헤드폰 구동력?

Magnesium Magnesium
164 7 27

헤드폰 임피던스 따라 앰프의 유효출력이 변합니다

음압은 출력과 감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고요

 

사실 감도 빼놓고 뭘 이야기 한다는 건 말이 안되는 겁니다

평판이 울리기 어렵다는 것 도 저임피 출력저하+저감도가 합쳐져서 그런거에요

 

dd도 감도차이 많이 납니다

신고공유스크랩
숙지니 숙지니님 포함 7명이 추천

댓글 27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네 이 부분은 큐델릭스 블로그에서도 봤던 기억이 납니다.

다만 저는 개인적으로 좀 염증이 있습니다. 감도 임피 다 왠만한 휴대용기기에서 귀터지게 울릴만한 걸 거치형이면 무조건 더 좋다는 듯이 말씀하시는 분/또는 조금 교묘하게는 볼륨확보만 될뿐 제성능을 못낸다 식으로 말씀하시는 분들께요(아니 풀볼륨의 반만 되도 귀가 터지게 나오는 기기에 볼륨확보만 된다니...) 뭐 각자의 주관적인 평가에 염증을 느낄 필요는 없나요? ㅎㅎ

17:10
2일 전
profile image
로드러너
전압대신 혈압이 오르는 저임피/저감도 놈들만 제외하면 큰 문제 되지 않을거 같은데 말이죠
17:36
2일 전
profile image
Magnesium 작성자
로드러너
저는 굳이 편을 나눈다면 로드러너님 쪽에 가깝습니다.
17:37
2일 전
profile image 2등

음압 (dB) = 음압감도 (dB/W) * 소비전력 (W) = 음압감도 (dB/W) * (출력전압 (V)^2 /임피던스 (ohm))

이렇게 계산하는 게 아닌가요?

17:20
2일 전
profile image
만사가귀찮은하루
예를 들어 베이어다이나믹의 T1 1세대의 경우
600옴이라는 임피던스를 자랑하지만
3.5mm 변환단자만 있다면
휴대폰에서도 250옴짜리 DT770PRO에 견주는 볼륨이 나옵니다.
17:25
2일 전
profile image
만사가귀찮은하루
변환단자는 그저 휴대폰에 6.3mm를 꽂지 못하기 때문에 쓰는 것일 뿐입니다.
17:31
2일 전
만사가귀찮은하루

저도 처음에는 감도랑 음압이 비례하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더라고요.

 

음압 = 감도 * 기준소비전력 + ( 소비전력 - 기준소비전력 )
이런식으로 계산하더라고요.

 

그래서 감도가 낮으면 음압 올리는데 소비전력이 크게 증가하더군요.

17:27
2일 전
profile image
Magnesium 작성자
만사가귀찮은하루
임피던스-vrms 커브 보면 그 양상이 다 같지 않습니다
어떤 앰프는 일정 임피던스 이후 vrms가 일정하고 어떤 앰프는 천천히 올라가죠
저임피던스에서 출력저하의 양상도 다 다릅니다
Asr에서 앰프 측정치 이것저것 살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17:29
2일 전
profile image
Magnesium
말씀 고맙습니다. 결국 스펙시트에서 이야기하는 Vrms대로 구분하려면 이상적인 전압원으로써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구간이 정해져 있다고 생각해야겠군요
17:31
2일 전
profile image
Magnesium 작성자
만사가귀찮은하루
출력전압 자체가 임피던스에 따라 바뀐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17:30
2일 전
profile image
Magnesium
혹시 ASR에서 참고할 만한 글이 있을까요? 실제 사용환경인 1kohm 이하에서 그 변화폭이 보통 어느 정도 오더인지 궁금하네요
17:34
2일 전
profile image
Magnesium 작성자
만사가귀찮은하루
L30인지 l30ii인지 쓰레드에 l30과 다른 기기의 vrms커브를 올린 글이 있습니다.
17:38
2일 전
profile image
Magnesium
찾았습니다. 이 글이군요:
https://www.audiosciencereview.com/forum/index.php?threads/topping-l30-ii-review-headphone-amp.36027/page-10
L30은 10옴 이상 구간에서는 임피던스가 변해도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L30ii는... 전혀 다르네요.
헤드폰 앰프는 전압 소싱으로만 동작하는 방식만 있는 줄 알았는데, 이건 또 신기하네요. 하나 배워갑니다.
17:49
2일 전
profile image
Magnesium 작성자
만사가귀찮은하루
https://www.audiosciencereview.com/forum/index.php?threads/topping-l30-ii-review-headphone-amp.36027/page-10

그냥 여러 헤드폰 앰프 임피던스/유효출력(기준마다 다르겠죠 일정 thd+n이라던가 왜곡이 출력보다 더 가파르게 증가한다던가...) 가지고 계산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L70, a70pro, a10h, l30ii 정도면 괜찮을 것 같네요.
17:48
2일 전
profile image
만사가귀찮은하루

윗분께서 말씀하신 내용 외에도

W = VI에서 우리가 자주 잊어먹는 것이
"에너지 전환 효율"입니다.

우리 오디오파일들이 요구하는 W는
전기 에너지가 100% 완전히 음파 즉 드라이버의 운동에너지로 변환된 값인가?
라는 질문입니다.


모든 물질은 관성이 있고, 관성은 변화에 저항하는 힘입니다.
이는 드라이버의 무게, 탄성 강성,에 의한 관성이 있고
코일과 자석 간에 생기는 전자적 관성이 있습니다.


드라이버의 강성, 드라이버의 무게, 주위 공기의 저항,
같은 전압 전류일 때 외력인 자석의 세기에 따라서 운동에너지 전환 효율이 달라지죠.

17:43
2일 전
profile image
만사가귀찮은하루

그래서 T1 1세대는 600옴이지만 250옴인 DT770PRO에 견주는 볼륨이 나오는 것입니다.
변환단자가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고요.
17:48
2일 전
profile image
햄최삼
아 그럼 변환단자 없어도 볼륨확보는 애초에 되는 애군요? 제가 첫 댓글을 잘못 이해했습니다
17:49
2일 전
profile image
만사가귀찮은하루

16343eb15098e420.jpg

 

예 이그젝틀리 합니다

17:50
2일 전
profile image
만사가귀찮은하루
다들 말씀 감사합니다. 덕분에 공부가 되었습니다. 앞으로는 소스기기 임피던스 커브도 확인해 보는 걸로
17:53
2일 전
profile image 3등
임피던스 역시 보통은 1khz 기준의 값을 제시하는 게 일반적인 것인데, 어떤 헤드폰은 주파수별로 큰 차이를 보이더군요
17:48
2일 전
profile image
Magnesium 작성자
로우파이맨최노인
관련된 이야기를 하려면 깁니다.
일단 높은 임피던스가 그 주파수가 구동이 힘들다는 이야기는 아니라는거 정도만 알아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파고들어가자면 앰프가 임피던스가 같다고(가정하자면 주파수가 다를 때 같은 최대 출력을 내줄 수 있느냐던가 뭐 이런저런 이야기가 있을겁니다.) 같은 반응을 보이느냐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 이고(저도 모릅니다만 같지는 않는 것 같더군요) 그 외 부분은 1kHz 부분 값고 크기응답만 같이 생각하시면 됩니다.
17:56
2일 전
profile image
Magnesium 작성자
로우파이맨최노인
제대로 이야기를 하려면 전기계 기계계 TS파라미터 어쩌고 뭐 저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소리를 해야해서 그건 힘들겠네요

저항+보이스코일의 인덕턴스+역기전력 등등등...
17:58
2일 전
profile image
출력과 구동력...
제 느낌으로는 같은 듯 다른 느낌입니다.
이론상 출력이 차고 넘쳐도
부족한 느낌이 드는 경우도 있고
반대의 경우도 있는듯 합니다.
왠만한 신형 포터블기기로도
괴물 헤드폰들이외엔 충분한 볼륨확보와
꽤 준수한 구동이 가능하다는건 동감입니다.
19:38
2일 전
profile image
본문부터 댓글까지 좋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00:01
2일 전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게시글 작성 시간 안내 16 영디비 6일 전00:08 624 +21
부운영자 모집 공고! 35 영디비 24.06.04.15:37 4378 +18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24.06.03.15:27 4442 +15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3567 +13
잡담
image
숙지니 10분 전16:04 19 +4
잡담
image
플랫러버 1시간 전14:35 45 +10
잡담
normal
xenon 2시간 전13:53 80 +3
잡담
image
쏘핫 3시간 전12:53 107 +8
잡담
normal
쏘핫 3시간 전12:25 58 +4
잡담
normal
개미핥기 3시간 전12:16 48 +2
잡담
image
iHSYi 6시간 전09:41 154 +4
음향
image
SunRise 7시간 전09:08 126 +9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1시간 전05:13 66 +5
잡담
normal
Magnesium 12시간 전04:05 95 +6
잡담
normal
햄최삼 13시간 전02:21 125 +6
잡담
normal
purplemountain 15시간 전01:12 62 +5
잡담
image
eoeoe 15시간 전00:16 58 +7
잡담
image
쏘핫 16시간 전23:44 119 +9
음향
image
nerin 16시간 전23:41 79 +12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6시간 전23:35 25 +2
잡담
image
키큰사람 16시간 전23:28 317 +11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6시간 전23:21 26 +3
잡담
image
카스타드 17시간 전23:02 57 +11
잡담
normal
케불치소 17시간 전22:58 35 +11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7시간 전22:42 22 +2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8시간 전21:54 30 +8
음향
image
shirC 18시간 전21:40 231 +13
잡담
image
쏘핫 19시간 전21:12 59 +8
잡담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9시간 전21:01 79 +7
잡담
image
COCT 20시간 전19:51 101 +4
잡담
image
윤석빈 20시간 전19:42 151 +9
잡담
image
윤석빈 20시간 전19:29 506 +15
잡담
normal
eoeoe 21시간 전19:09 82 +4
잡담
image
Magnesium 22시간 전17:55 9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