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IT

보잉 개발 우주선 ‘스타라이너’ 발사…첫 유인 시험 비행

News News
139 3 2
출처 https://m.khan.co.kr/science/aerospace/a...6052357001

5일 플로리다주 발사장에서 이륙

사람 2명 탑승…일주일 뒤 귀환

성공하면 스페이스X와 ‘경쟁 체제’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공

 

미국 기업 보잉이 개발한 우주선 ‘스타라이너’가 처음으로 사람을 태우고 발사됐다. 그동안 민간기업 가운데 사람을 우주로 보내는 일은 스페이스X가 독점해 왔지만, 향후에는 이 분야에서 보잉과의 경쟁 체제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5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보잉은 이날 오전 10시52분(한국시간 5일 오후 11시52분)에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타라이너를 실은 아틀라스 5호 로켓을 발사했다.

이번이 첫 유인 시험 비행인 스타라이너에는 NASA 우주비행사 부치 윌모어(61)와 수니 윌리엄스(58)가 탑승했다. 발사 장면은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스타라이너는 발사 약 25시간 뒤 고도 400㎞를 돌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킹한다. 우주비행사들은 ISS에 머물다가 약 일주일 뒤 지구로 돌아온다.

 

스타라이너는 높이 5m, 지름 4.6m의 원뿔형 우주선이다. 최대 7명이 탈 수 있고, 10회까지 재사용할 수 있다.

스타라이너 발사는 지난달 6일 처음 시도됐다. 하지만 발사를 약 2시간 남기고 아틀라스 5호 로켓에 달린 산소 방출 밸브가 오작동하는 문제가 발견됐다. NASA는 점검 끝에 밸브 오작동이 헬륨 가스 누출로 인한 것이라는 점을 알아냈다. 이 문제로 발사 일정은 수차례 더 미뤄졌다.

지난 1일 시도된 발사에서는 이륙 3분50초를 남기고 카운트다운이 중지됐다. NASA는 이번에는 지상 지원 설비에 장착된 컴퓨터 전원공급장치 부품에 문제가 생겼다는 사실을 알아내 새 부품으로 교체를 끝냈다.

이번 시험 비행이 최종 성공한다면 지금까지 스페이스X가 독점하던 민간 유인비행 시장을 향후 보잉이 나눠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14년 NASA는 지구 저궤도를 겨냥한 유인 운송을 민간 기업에 맡긴다는 방침을 세우고, 보잉에 42억달러(약 5조7000억원), 스페이스X에 26억달러(약 3조5000억원)를 각각 지원했다.

이를 통해 스페이스X는 ‘크루 드래건’을 개발해 2020년 유인 시험 비행을 한 뒤 지금까지 총 9차례 NASA의 수송 임무를 수행했다. 보잉이 이번 첫 유인 시험 비행에서 우주비행사를 지구까지 안전하게 귀환시켜 ‘최종 성공’ 도장을 찍는다면 향후 지구 저궤도 수송 수요를 두고 스페이스X와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새로운 우주선의 역사적인 시험 비행이 잘 진행되고 있다”며 “스타라이너는 미국 우주 탐험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신고공유스크랩
숙지니 숙지니님 포함 3명이 추천

댓글 2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대 우주시대의 시작인가요 ㅎ
11:31
24.06.06.
profile image 2등

경쟁이 문제가 아니라 우주 비행사 두 분 연세가 ㅎㄷㄷ 합니다. 

12:24
24.06.06.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