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지식과팁

이너피델리티 FR Graph 측정치 모음 20. Ultrasone

SunRise SunRise
87 7 11

 

세계에서 가장 일관적이고 다양한 명기들이 즐비한 이너피델리티의 측정치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 중입니다.

 

PDF로 확인하려니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데 이렇게 묻히기에는 아깝습니다.

 

먼저 FR Graph부터 각 회사별로 정리합니다.

 

 

제가 RAW FR을 분석할 수 있게 된 것도 모두 이너피델리티 덕분입니다.

 

이토록 다양한 제품을 동일한 환경에서 측정한 곳이 없기 때문입니다.

 

공부하기에도 매우 좋습니다. RAW FR로 보시길 강력 추천드립니다.

 

 

뿐만 아니라 야마하 HP1의 잠재력을 발견한 곳이니, 각자 원하는 제품 하나씩을 찾아봐도 재밌습니다.

 

 

0000_UltrasoneEdition8.pdf.jpg

EDITION 8

0001_UltrasoneEdition10.pdf.jpg

EDITION 10

0002_UltrasoneHFI450.pdf.jpg

HFI450

0003_UltrasoneHFI780.pdf.jpg

HFI780

0004_UltrasoneHFI2400.pdf.jpg

HFI2400

0005_UltrasonePRO550.pdf.jpg

PRO 550

0006_UltrasonePRO650.pdf.jpg

PRO 650

0007_UltrasonePRO900.pdf.jpg

PRO 900

0008_UltrasonePRO2900.pdf.jpg

PRO 2900

0009_UltrasoneSignaturePro.pdf.jpg

SIGNATURE PRO

0010_UltrasoneZino.pdf.jpg

 ZINO

 

 

 

출처 https://www.stereophile.com/content/innerfidelity-headphone-measurements 

신고공유스크랩
쏘핫 쏘핫님 포함 7명이 추천

댓글 11

댓글 쓰기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에스로직 + 의외로 준수한 토널밸런스 = 울트라손
입니다.

일반적으로 울트라손은 개성이 매우 강한 헤드폰으로 -틸 옹 리뷰 덕분에- 기억되지만,

전반적으로 타겟을 준수하려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에디션과 같이 비싼 제품 일부에서는 과한 부분이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긴 합니다만,
시그니처 DJ, TIO 등을 보면 중립적으로 생각될만한 타겟 지향적 제품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울손하면 역시 공간감을 어떻게든 만들어보려는 에스로직이 대표적이며, 저렴하게는 최근에 발매된 펄스를 추천드립니다. 생각보다 더 잘만들었습니다. 이외의 제품은 개인마다 맞는 것이 있으니 청음 필수입니다.

01:20
24.05.29.

제가 아직 한 번도 구매 안 한 헤드폰입니다.

하나만 추천해 주세요!!!

01:23
24.05.29.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무직마니아
저렴하게 펄스 한번 들어보세요 ㅎㅎ
01:29
24.05.29.
SunRise
이뻐 보이네요.
만나면 바로 취하도록 하겠습니다.
01:33
24.05.29.
S로직이 이용자 귀 구조에 영향이 좀 큰것 같은데 측정치에도 반양이 될런지는 모르겠네요 ㄷ
01:27
24.05.29.
profile image
SunRise 작성자
엔디제이디제이
수많은 딥이 증명하죠~
01:29
24.05.29.
profile image
제 헤드파이 역사는 에디션10을 들어보기 전과 들어본 후로 나뉩니다.
측정치만 보고 까는 분들이 있는데, 꼭 들어봐야만 진가를 알 수 있습니다.
제가 듣기에는 측정치 쪽이 불가사의할 정도로 멀쩡하게 잘 나온 겁니다...
02:04
24.05.29.
idletalk
측정치 적극적으로 보는거 거의 포기한 이유

인지적인 부분때문에 그냥 휙휙 바뀌어서 답이 없습니다 ㅋㅋㅋㅋ....
딥피크 생기거나 주파수 바뀐다고 음상이랑 톤밸런스 기준점 자체가 완전히 뒤틀리니....

신뢰할만 한 실이측정치에 대해서 딥피크 위치까지 맞춰야 오토EQ라던가 이런게 제대로 의미가 있는것이죠

그리고 커플러이 신체가 반영이 안되는 경우 너무 반영 되는경우 신체에선 없는건데 있다 찍히는 경우... 아 머리아파 ㅋㅋ......

크기응답이 거의 다라는 생각은 변함이 없는데(여러차례테스트 결과 이어폰/헤드폰에서 위상응답은 거의 의미 없는거로...)
세세한거 까지 다 일치해야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며
인지적인 부분에 매우 크게 영향받고

그냥 이건 찍어봐야 아는...

평소에 접하는 측정치가 RAW라고 해도 얼마나 스무딩된건지 알 수 있기도 하고 여튼 답없습니다 ㅋㅋㅋㅋ
04:37
24.05.29.
Magnesium
귀, 얼굴, 드라이버, 이어컵과 기타등등 구조물이 다같이 음장을 구성하니, 이거에 대해 일관되고 통용되는 측정은 불가능에 가깝고, 생각외로 헤드폰에서 제진문제도 존재하고(직접 겪기 전에는 얼마나 심하겠나 싶었는데 ㅋㅋ...)...
04:39
24.05.29.
idletalk
그나마 이어폰이 낫죠 착용편차는 이어폰이 더 심하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비슷한 삽입위치에선 이어폰이 시람간 편차는 헤드폰보다 훨 적죠
04:38
24.05.29.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