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질문

헤드폰 성능을 표현하는 기준에 이런 것도 있나요?

베르캄규 베르캄규
157 6 23
음감을 하다가 문득 헤드폰 성능을 표현하는 기준에 이런 것도 있나?라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글을 쓰면서도 뻐... 뻘 질문이 될 것 같은 느낌이 많이 듭니다만,
너무 궁금한 마음에 글을 남깁니다.
(없으니까 찾을 수가 없었던 거 아닌지...)
 
 
쉬운 설명을 위해 매우 극단적으로 표현해 보겠습니다.

아래에서 예로들은 수치는 100db, 90db 등을 나타내는게 아니라 쉬운 설명을 위한 임의의 숫자일 뿐입니다.

 
 
음악이 재생되는 순간을 칼로 잘라내어 단면을 살펴보니
각각의 볼륨이 아래와 같았습니다.
 - 보컬 90
 - 기타 86
 - 피아노 93
 - 하이햇 100
 
A라는 헤드폰은 1단위의 볼륨까지 표현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위의 음악을 재생할 때
보컬 90, 기타 86, 피아노 93, 하이햇 100 볼륨에 딱딱 맞게 재생합니다.
 
 
B라는 헤드폰은 어떤 이유에서건 10단위의 볼륨 밖에 표현을 못 합니다.
어떤 이유라 함은
 1. 기기 성능상 애초에 세세한 볼륨 표현이 불가능하거나
 2. 단일 86, 90, 93 세세한 표현이 가능하나, 86, 90, 93 동시 유입 시 세세한 차이는 표현이 불가능하거나
 3. 그 외 어떤 이유에서든
그래서 기타 86과 피아노 93은 재생 가능한 볼륨에서 가장 가까운 90으로 표현.
결과적으로 B라는 헤드폰은 보컬, 피아노, 기타는 90 볼륨으로 재생, 하이햇 100으로 재생
 
 
설명이 잘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질문을 하고도 매우 뻘쭘합니다.
 
혹시 헤드폰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 중에 위와 같은 내용도 있을까요?
많은 고견 부탁드립니다~

베르캄규 베르캄규
11 Lv. 2488/2880EXP

- 보유 기기 목록

구분 제품 명 사용 기간
소스 기기  Apple iPad mini - 6세대  ?
유선 헤드폰  Sennheiser HD 599  2022.08.20 ~
 Sennheiser HD 560S(Late)  2023.02.15 ~
 SRH 1840 벌크

 2023.03.24 ~

 2024.05.08

 Hifiman Edition XS  2023.05.06 ~
 Sennheiser HD 650

 2023.05.08 ~

 2024.05.08

 Focal Clear MG  2024.05.03 ~
 Focal New Utopia  2024.05.07 ~
유선 이어폰  AKG 삼성 번들  ?
 Simgot EW200  2024.05.07 ~
 KZ ZVX  2024.05.16 ~
 KZ Libra Hi-res  2024.06.14 ~
무선 이어폰  Apple AirPods Pro  2022.05.20 ~
DAC/AMP  Ifi Zen Air DAC    2023.02.21 ~
 Fiio K7  2023.03.31 ~
 Questyle Audio CMA Fifteen  2024.05.28 ~
스피커  Edifier MR4  2023.07.05 ~
사운드바

 Samsung HW-Q600A 

 2022.04.15 ~

 

신고공유스크랩
박지훈 박지훈님 포함 6명이 추천

댓글 23

댓글 쓰기
profile image 1등

표현력같은건 측정치나 수치로 나타내지는 지표는 딱히없다고 봐야할듯요 이래서 직접 들어보고사는게 제일좋고
이게 어려우니 어느정도 듣는 기준비슷한 분들 후기를 참고하는 정도로 하고있어요 ㅋㅋㅋ 

베르캄규글쓴이 추천
15:53
5일 전
profile image
카스타드
헤드폰의 세계는 매우 심오하군요 ㅎㅎ 앞으로 공부를 많이해야겠어요ㅠ
17:00
5일 전
profile image 2등
결론적으론 톤밸런스 말씀하시는거 아닌가요..

밸런스를 성능으로 보는 경우는 아마.. 프로들의 모니터 용도인 제품들이지 않을까요?
(그것도 일부는 보컬 모니터에 특화되었을것 같기도 하고)

음감용은 제조사들이 추구하는 바에 따라 어느정도씩은 틀어져 있을것 같은데요.
베르캄규글쓴이 추천
15:55
5일 전
profile image
Evey
톤밸런스에 대해 좀 더 공부해야봐야겠어요~ㅎㅎ 음향의 세계는 정말 어렵네요ㅠㅎ
17:01
5일 전
profile image
베르캄규
볼륨을 제조사가 최적 튜닝한 수준에서 올리거나 내리면 밸런스가 조금씩 틀어지는 경우들이 있죠.

의도적인 경우도 있고,
(게임전용?들이 음장감,정위감 유지를 위해 볼륨을 바꾸면 톤밸이 더 V자로 변경되는 경향이 종종 있는것 같더군요. 이걸로 음악을 들으면 어떤 경우엔 중역 악기들이 빠지겠죠. 기술적으로 어떻게 했는지는 몰라도)

의도적인 게 아닌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엔 여러 이유가 있을것 같네요. 구조적인 부분이라던가 그냥 잘못 튜닝됐다거나..

그리고 주파수특성 때문에 밀폐형이냐 오픈형이냐에 따라서도 높은볼륨 낮은볼륨 좀 차이가 있을 것 같은데..
헤드폰도 이어폰처럼 소리가 자연스럽게 바깥으로 퍼질 때에는 볼륨을 낮추면 저역이 고역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빠지는 경향도 있을것 같은데.. 이 부분은 저도 현상만 들었지 원리는 모르겠네요.
잘 아시는 분들이 설명해 주시면 좋겠는데요
베르캄규글쓴이 추천
17:52
5일 전
profile image
Evey
근데 아마 말씀하신 수준으로 볼륨을 바꿨을 때 악기마다 애매하게 다르게 반올림되듯 깎인다는건 기본상태에선 어려울 겁니다.
기본상태가 플랫과 많이 멀어서 EQ가 크게 적용돼서 밸런스를 맞춰낸 경우에는 일부 그런 느낌도 받으실 수는 있지 않을까 싶고요..
베르캄규글쓴이 추천
17:56
5일 전
profile image
Evey
상세한 추가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ㅎㅎ 큭ㅠㅠ 저도 앞으로 많은 공부가 필요합니다ㅠㅎㅎ
18:10
5일 전
profile image 3등

아날로그 신호라 딱 10단위로 끊기는 그런 느낌은 아닙니다

왜냐면 그렇게 끊기는 걸 "디지털"이라고 하기 때문이죠

베르캄규글쓴이 추천
15:58
5일 전
profile image
햄최삼
그렇군요~ㅎㅎ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17:15
5일 전

약간 다른 이야기인데 저는 종종 볼륨이 1에서 10000까지 아주 세분되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합니다.

우리가 받은 음원에 대한 믿음을 가지며 eq를 사용하는 것도 자제합니다.

초기 음원으로 발매된 그 상태(어떤 형태든)는 그대로 간직하고 볼륨만 미세하게 나누어 들을 수 있으면 하는 것이지요. 

이게 바로 뻘댓글입니다. ㅎㅎㅎ

베르캄규글쓴이 추천
16:03
5일 전
profile image
무직마니아
음악을 들을때 볼륨이 굉장히 중요하더라구요 ㅎㅎ 귀 건강을 위해 최대한 작게 들으려고 노력중인데 맘처럼 쉽지 않네요 ㅎㅎ 저도 모르게 볼륨을 계속 키우게되요ㅜㅋㅋ
17:16
5일 전
베르캄규
바로 그런 필요성으로 저도 볼륨의 세분화를 요구하는 겁니다.
아마 우리처럼 저볼륨으로 듣는 사람들에겐 아주 중요한 기능이 아닐까 합니다.
베르캄규글쓴이 추천
17:25
5일 전
profile image
난 언제쯤 이런 대화에 낄 수 있는 내공이 될려나 ㅠ
베르캄규글쓴이 추천
16:15
5일 전
profile image
쏘핫
저... 저도 못낍니다 ㅎㅎ 이런 뻘 질문을하는 초보라..ㅠ
17:14
5일 전
profile image
악기별 볼륨은 믹싱의 영역이 아닐지요?
evey님 말씀대로 토널밸런스와 주파수 응답 측정그래프가 베르캄규님께서 질문하시는 부분의 답인 것 같습니다.
업라이트 피아노와 그랜드피아노만 들어도 같은 음계인 '도'의 주파수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리시버 단계에서 악기별 소리를 나누어 측정하고 세분화하는 것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사람 목소리만 해도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지 않으니까요.(성문聲紋이라는 개념이 있을 정도니까요)
베르캄규글쓴이 추천
16:29
5일 전
profile image
호연
그렇군요...ㅎㅎ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17:22
5일 전
profile image
베르캄규
다시 생각하다 떠오른 점 추가로 적고 갑니다!

아시다시피 드럼의 심벌을 스틱으로 때린다고 가정했을 때
음파 그래프는 -<>- 이런 모양이 되잖아요?
여기서 -와 <와 >와 - 모두, 주파수가 다릅니다.
그래서 주파수 응답 특성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 같아요.

바이올린만 해도 160hz부터 16000hz까지 매우 넓은 대역폭을 가집니다.
라이브로 듣는 것과 디바이스를 통해 듣는 것 사이에 간극이 매우 큰데요,

본인이 라이브로 들었던 경험을 디바이스로 간편하게 듣기 위해서
그 소리와 가장 흡사한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내 주는 기기를 찾는 것이
우리 오디오파일(...)들의 숙원이 아닐까 싶어요.

물론 곡마다 그걸 살려주는 기기가 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 곡은 이걸로 들어야 해. 까지 간 분들이 여기 많이 계시구요.ㅋㅋㅋ
베르캄규글쓴이 추천
17:32
5일 전
profile image
호연
맞아요~ 라이브를 그대로 제생해주는 기기! 그것을 찾는것이 숙원이죠~ㅎㅎ
17:49
5일 전
profile image

녹음할때 대음량으로 녹음하죠

베르캄규글쓴이 추천
16:40
5일 전
profile image

답은 제가 잘 모르는 영역이지만 표로 정리된 회원정보에 감탄하고 갑니다. 

베르캄규글쓴이 추천
17:40
5일 전
profile image
숙지니

저는 보유기기가 워낙 적어 표로 정리하기 쉽더라구요~ㅎㅎ 숙지니님은 좋은 제품을 워낙 많이 보유하고 계셔서 힘드실겁니다~ㅎㅎ

17:50
5일 전
profile image
무슨 말씀이신지 이해했습니다.

헤드폰의 비선형왜곡은 말씀하시는 식으로 일어나지 않는거로 압니다.

다만 50이 47, 60은 55, 70은 62...로 "특정 주파수대역의 음압에 따라 해당 대역이 줄어드는"... 이런식의 왜곡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출력과 일정한 상관관계를 가질거고요

그렇지만 이어폰, 헤드폰에선 그다지 문제되지 않는거로 일단은 생각하고 있습니다.

오픈형 헤드폰에 EQ로 극저역을 쥐어짜려고 하는 상황에서야 좀 의미 있을 것 같아요.

다만 헤드폰에서의 컴프레션에 대한 측정 같이 근거가 될만 한 걸 본 적이 없어서 그냥 추측 일 뿐입니다.


별 의미가 없으니 안하는 걸 수도 있겠지만요

일단 존재하긴 하는 현상입니다.

아 그리고 3차 하모닉스나 음압 컴프레션이나 같은거인지 뭔지 뭐 그렇다는데 전 잘 모릅니다.
베르캄규글쓴이 추천
18:53
5일 전
profile image
Magnesium
문득 떠오른 뻘질문에 상세하게 답변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저는 앞으로 많은 공부를해야겠어요~ㅎㅎ
11:43
4일 전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종 글
[공지] 게시글 작성 시간 안내 16 영디비 5일 전00:08 519 +21 박지훈
부운영자 모집 공고! 35 영디비 24.06.04.15:37 4298 +18 햄최삼
6월 활동 이벤트 공지 및 상품 안내! 54 영디비 24.06.03.15:27 4363 +15 햄최삼
5월 이벤트 당첨자 안내! 30 영디비 24.06.03.12:52 3517 +13 iHSYi
질문
normal
쏘핫 43분 전21:35 18 +1 쏘핫
질문
normal
케불치소 2시간 전20:11 40 0 케불치소
질문
normal
XxJUNYxX 2시간 전19:35 44 0 iHSYi
질문
normal
잘생긴오준이 8시간 전14:15 44 +2 잘생긴오준이
질문
image
lsh543 11시간 전10:38 33 0 이노시톨
질문
normal
xenon 11시간 전10:34 47 0 xenon
질문
normal
케불치소 22시간 전00:10 56 0 햄최삼
질문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22시간 전23:54 34 +1 -답이님
질문
normal
pp890808 1일 전20:50 51 +1 pp890808
질문
image
Underground 1일 전20:10 51 +2 Underground
질문
normal
zer0ki 1일 전17:01 79 +3 zer0ki
질문
normal
ReinaKim 1일 전14:28 51 0 purplemountain
질문
image
이안에너있다 1일 전13:03 63 +1 Jon
질문
normal
썸모 1일 전11:59 108 +2 사앜
질문
normal
쏘핫 1일 전10:46 85 +3 kalstein
질문
normal
ReinaKim 1일 전09:34 20 +1  
질문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1일 전07:42 92 +4 카드값안주는체리
질문
normal
케불치소 2일 전21:46 108 +1 햄최삼
질문
image
Software 2일 전19:23 59 0 Software
질문
normal
라온소리 2일 전17:02 132 +4 라온소리
질문
normal
곡예사 2일 전15:52 102 +2 곡예사
질문
image
몌리몌리 2일 전14:54 127 0 햄최삼
질문
normal
타케 2일 전09:10 88 +1 타케
질문
normal
케불치소 2일 전00:13 110 0 만사가귀찮은하루
질문
normal
쏘핫 2일 전22:24 52 +1 호연
질문
normal
Андрей 3일 전17:45 44 +1 nerin
질문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3일 전17:36 88 +2 Magnesium
질문
image
카드값안주는체리 3일 전17:02 69 +1 쏘핫
질문
normal
곡예사 3일 전16:01 47 +1 곡예사
질문
normal
발러 3일 전14:29 2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