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사용기

Drop X JVC HA-FWX1 "우디" 장기 사용후기.

iHSYi iHSYi
115 5 8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제조/유통사의 스탁이미지와 직찍은

출처를 따로 밝히지 않겠습니다.

 

 Drop X JVC HA-FWX1.

ChNUglpVROaiFbtLNWU0_21125-copy-pdp.jpg

 제가 우디라고 부르는  (이하 우디라고 칭합니다.)

마성의 이어폰 FWX1의 시용후기 입니다.

 

 싱글 다이나믹 드라이버/1DD 삼대장이라는 이야기에

단골로 등장하던 제품들  JVC HA-FW10000이라는

제품이 있습니다.  요즘은 바뀌었을듯 합니다.s-l1200.jpg

빅터의 전설적?인 플레그쉽으로 가격이 ㅎㄷㄷ 합니다. 

2000달러 정도에 판매중입니다.

외부쉘만 아니라 내부 드라이버의 진동판마저 나무로

되어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진동판 전체가 나무는 아니고 우드돔 타입)

 이 초고가 플레그쉽과 같은 두깨?의

우드돔 진동판 드라이버를 가진 하위 제품이 FW1800.

하위 제품이라지만 준 플레그쉽으로 출시가도 상당했고

현재도 400~500달러쯤에 판매가 되고 있는데

종종 특가가 뜹니다.

준 플레그쉽인 1800을 드랍콜라보로 커스텀해서

내놓은게 FWX1 우디 입니다.

 디자인은 비슷하지만 쉘제질이 금속이고 

진동판도 우드돔이 아닌 또다른 빅터와 드랍 콜라보이자

종종 인생 이어폰으로 거론되는 명작 HA-FDX1의

카운터 파트이며 베이스가 강조된 제품이라고

선전 했습니다.

31MLCz1p97L._SR600,315_PIWhiteStrip,BottomLeft,0,35_PIStarRatingFOURANDHALF,BottomLeft,360,-6_SR600,315_ZA22,445,290,400,40.png

 

 기대를 안고 구매했을 당시 드랍의 원가 절감 정책에

의한 무지 박스 페키징인데도 불구하고

a97c0a6388edb3155e42e6e2075cc407.jpg

59f868b79db83a5c6c3eb0daedd9966d.jpg

 원가 절감이 보이지만  구성품은 1800과 동일.

나름 신경써서 포장한 느낌이 없지는 않았습니다.

콜라보라고 하지만 일봄에서 생산한 제품인 티가 납니다.

미국산이었다면 박스나 포장이 좀 거칠었을듯 합니다.

 8dbba3305cca22d4a81468902d88bb56.jpg044914d5a6826a25ca502f6ae12de4e6.jpg

유닛 (사진 출처 .head-fi.org)

나무입니다. 조금 진한 블랙 컬러리 나무결이 덜 보이지만

마감처리도 좋고 어두운 유광 금속으로 준 악센트도

상당히 좋고 미적으로 예술?품 수준이라고 우길 수

있을 정도로 아름답습니다.

bcd9c1943be74e5a098d9ce66d99376c.jpg

고급? 케링 케이스와 스파이럴 닷+팁.

5d1d52b4fe6a70a87d57257aa2c77a12.jpg

이어 가드가 없는 MMCX 3.5 케이블.

(기본 착용은 언더이어이고 유닛 좌우를 반전해서

오버 이어 착용도 가능합니다.)

 간결한 악세 구성인데 퀄러티는 참 좋습니다. 

특히 케이스는 내부가 벨벳 타입 처리가 되어 있어

아주 고급 스럽고 촘감이라던가 최고입니다.

3a6e5ac7076c30f6cb591f88b9fef2d2.jpg

사진 출처 head-fi.org 

 나무 유닛에 이어서 케이스도  예술품의 경지입니다.

지금껏 본 100만원 이하 제품 동봉 케이스중

고급스러움 1위 입니다. 100만원 이상에서도 쉽게

보기 힘든 수준입니다.

 

 y 스플릿 아래로 살짝 국수형인 케이불도

금속으로된 단자들도 튼튼하고 보기 좋고

피복을 비롯한 모든 제질과 마감이 아주 우수합니다.

 

 SPECS

Drop + JVC

Drivers: 11 mm Wood Dome carbon diaphragm drivers

Acoustic purifier

High-energy magnetic circuit

Housing material: Wood

Frequency response: 6 Hz –52 kHz

Cable: Copper-clad aluminum cable with isolated left and right sides

Connector: MMCX

Termination: 3.5 mm

Cable length: 4 ft (1.2 m)

Eartips: Spiral Dot + eartips made from SMP iFit material

Dimensions (per earbud): 0.56 x 0.75 x 0.19 in (1.4 x 1.9 x 0.48 cm) 

Weight (pair): 1.2 oz (34 g)

INCLUDED

Leather carrying case

5 pairs of JVC’s Spiral Dot + eartips (S, MS, M, ML, L)

 드랍에서 밝힌 스팩인데 6에서 52K???

제가 본 1DD중에서 것 1등의 대역폭을 지니고 있네요.

 

 소리는 정말 자주 들을수 없는 특징을 가진

자연스러운 소리의 극치.(뇌이징 가능성 높음)

ㅈㅓ음의  울림이 예술 입니다.

ff16d1b6c6ac2af049ab9a2823c8ce4c.png

 나무 돔이 탑제된 11미리 대형 다이나믹 드라이버가

주는 심리적인? 느낌이 더해져서 소리가 일품입니다.

 물론 단순히 울림만 좋은 제품이 아닙니다.

전반적으로 준 종결기급의 소리입니다. 

 모든 대역대가 충실하고 특별히 흠잡을 때도 없고 

마이크로 디테일은 정망 수준급입니다.

dd4dc96ab8c70eefe32fa9fd207dc909.jpg

 튜닝은 U자형 펀사운드라고 합니다.

이미 나무나무의 치명적인 매력에 빠지게 되서

사실 그다지 모르겠네요. 진짜 소리가 좋습니다. ㅎㅎㅎ

 

 하지만 치명적인 매력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함께 하니...

착용감은 처음엔 나쁘지 않은데 너무 크고 무겁습니다.

대부분 유선이어폰 유닛의 무게가 0.5oz 정도라 하는데

우디는 1.2로 4배가 넘습니다.

동봉 스파이럴닷+으로 아주 좋은 착용감을 주는데.

30분 정도 들으면 귀가 저릿저릿 해서 

음감을 끝내고 유닛을 빼면 고통이 밀려 옵니다...

IMG_20240623_063611212.jpg

  이젠 그동안 단련도 되고 적응도 되어서

 아즈라 맥스 스텐다드의도움을 받으면 

 1시간정도 음감의 가능합니다.

 

 예전에 보유기기들이 적었을땐 고통을 감수하고

종종 찾았었는데 요즘은 좀 뜸해졌습니다.

아무리 소리가 개성있고 좋다고 해도

착용감(30분 이하로 듣는다면 나쁘지 않음)이

나쁘면 사용하지 않게 되는 듯 합니다.

 

 "우디" 외모와 소리는 정말 제 취향에 잘 맞는데

헤드파이에서 치명적인 무게와 크기에 발목을

잡힌듯 합니다.

 사용중엔 소리에 넋이 나가서 그런지 통증이 오지

않다가 빼면 한번에 몰려 오기에 타이머?를 맞춰두고

들어야 하는 수고를 해야 할테지만(과장입니다.)

포기하기 힘든 소리를 들려주는

 마성의 이어폰 HA-FWX1 "우디".

 저는 비추 합니다. ㅋㅋㅋ

안 들어 본 귀 삽니다...라는 

말이 잘 어울리는 이어폰입니다. 

 

 

 돈만 있다면 상급기이면서 오버이어 착용 설계로

무게 분배가 더 나을듯 한 

 HA 만을 한번 제대로 사용해 보고 싶네요.

 

iHSYi iHSYi
78 Lv. 121789/124820EXP

 HEAD-FI GAERS IN USE.


USB DAC/AMP:

 CAYIN RU7 

 AUDIOQUEST DRAGONFLY COBLAT

 HIBY FD3



BLUETOOTH DAC/AMP:

 IFI GOBLU

 FIIO BTR5 2021


DAP:

 HIBY R6 PRO2

 CAYIN N3PRO

 MOTO G STYLUS 


AMP:

 MONOLITH THX887

 ZENAIRCAN


OVEREAR HEADPHONE(WIRED):

 FORCAL RADIANCE

 DCAxDROP AEON X CLOSED

 BEYEREDYNAMIC AMIRON HOME

 SENNHEISER 660s


OVEREAR HEADPHONE(WIRELESS):

 SHURE AONIC 50

 AKG K361 BT


INEAR MONITOR(WIRED):

 CAMPFIRE AUDIO ANDROMEDA 2020

 EMPIRE EARS BRAVADO MK2

 AKG N5005

 FATFRAQ MAESTRO MINI

 FINALAUDIO A5000

 FINALAUDIO E4000

 FINALAUDIO E3000

 FINALAUDIO E500

 FINALAUDIO TANE

 JVCxDROP HA-FWX1

 WESTONE W40 GEN2.

 SENNHEISER IE200

 LETSHUER S12

 ETYMOTIC RESERCH ER2SR

 UCOTEC RE-2

 MOONDROP ARIA SNOWEDITION

 CCA CRA

 Tang Zu Chang Le

 BD005PRO

MOONDROP CHU2.

"Project ii proto B type."

 "Project ii proto O type"

 

INEAR MONITOR(WIRELESS):

  

 TWS:

  BUDS2

  DEVIALET GEMINI

  RAZER HAMMARHEAD X


GAERS NOT IN USE

 WAN'AR, WU ZETIAN HEYDAY ED, W20, SPH9600, V60, BEYEREDYNAMIC BLUE BIRD GEN2, ZENAIRDAC, BTA30 ,, SB X-1, FIILXS, TONE 6,

 BEAT SOLO, MEZE99, , N40, APPLE BUNDLE, DAMSUNG BUNDLE,

 PX,LCDI3,QB3,CXpro CX31993.ETC....

신고공유스크랩
마루에marue님 포함 5명이 추천

댓글 8

댓글 쓰기
profile image
저도 들어보고 싶습니다...ㅋㅋ
20:15
6일 전
profile image
iHSYi 작성자
LiNee
아마도 하프만은 유명해서
청음이 가능한 곳이 꽤 있울 겁니다.
1800 이하 모델들도 특가가 자주 떴었고
은근히 보유 하신 분들도 많더라구요.
인생이어으로 HA-FW 시리즈를
꼽는 분들도 은근 계시고요.
20:20
6일 전
profile image
와 디자인은 완전 취향저격인데 가격은 취향이 아니네요 =_=
20:16
6일 전
profile image
iHSYi 작성자
쏘핫
FWX1은 특가 뜨면 크게 비싸지 않은 제품입니다.
그래도 한 20~30만원은 했던 듯 하네요.
20:21
6일 전
profile image
iHSYi
컥 비싸네요 그럼 다음 생에 써보는걸로 (....)
20:22
6일 전
profile image
iHSYi 작성자
쏘핫

 저는 솔직히 비싸다는 생각은 안 드는데

이정도로라면 충분히 이어폰 종결도 가능합니다.
튜닝 취향이 맞고 우드라는 갬성코드도 맞고
한번에 30분 이하로 음감 하는사람

 한정이지만요...ㅋㅋㅋ
요즘 차이파이 제품들에 비하면
전체적인 가성비가 떨어질 수도 있지만
개성이 있어서 크게 아쉽지 않은데
크기를 무게는 정말...아쉽습니다.

20:47
6일 전
profile image
iHSYi
다음에 기회되면 꼭 한번은 청음해보고싶네요 ㅎㅎ
20:57
6일 전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